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 정보366

고환에 통증? 부고환염 치료 후기 살면서 부고환염을 4번 정도 겪었습니다. 20대 때는 한 번도 걸린 적이 없으나 결혼하고 30대 초반부터 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때부터 총 4번을 걸렸는데 자세한 부고환염 치료 후기를 적어볼까 합니다. 부고환은 고환 옆에 붙어 있는 기관으로 6m의 기다란 관이 뭉친 형태입니다. 이 부분에 염증이 생겨 붓게 되면 통증이 발생하고 커지게 되는데 이것을 부고환염이라고 합니다. 부고환염 원인 35세 이하의 부고환염 원인은 대체로 전립선이나 요도에 있는 성전파성 균 때문입니다. 성전파성 균은 성관계나 스킨십으로 전염될 수 있는 균을 말합니다. 소변을 볼 때 아랫배에 힘이 들어가는데 이때의 압력으로 요도에 남아있던 성전파성 균이 정관(정액이 나오는 관)으로 흘러들어 가면서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35세 이상 남성의.. 건강 정보 2023. 2. 13.
불면증에 좋은 음식, 숙면에 좋은 음식 밤에 잠이 잘 안 오고 잠이 들어도 깊게 잠들지 못하고 계신가요? 불면증은 잠을 잘 수 있는 환경에서도 잠을 못 이루는 것을 말하는데 직장에서 하루 종일 앉아서 일하는 현대인들에게 특히 많이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육체의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면 쉽게 곯아떨어지지만 머리만 사용하는 일을 하는 경우 불면증이 나타나기 십상이죠. 불면증은 환경, 시간, 정신, 도구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모든 요인들을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여건 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불면증에 좋은 음식 몇 가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을 관장하는 호르몬 먼저 아셔야 할 것은 수면을 관장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과 세로토닌, 트립토판입니다. 이 3가지 요소들이 제대로 분.. 건강 정보 2023. 2. 11.
사과 효능 성분 칼로리 알아보기 사과는 마트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대표 건강 과일입니다. 원래 사과 제철이 10월에서 12월 사이지만 요즘에는 1년 내내 마트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죠. 그러나 흔하게 볼 수 있다고 사과가 귀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사과 효능과 성분을 알면 얼마나 고마운 과일인지 느낄 수 있습니다. 사과 성분 및 칼로리 사과 1개의 무게가 대략 400g~500g 정도이며 100g은 사과 한쪽 정도의 양입니다. 사과 100g에는 아래와 같은 성분들이 들어있습니다. (아래 수치는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발췌한 내용입니다.) 1. 일반성분 함량 수분: 84.8g 단백질:0.2g 지방: 0.66g 탄수화물: 14.11g 당류: 10.93g 식이섬유: 2g 여기에 비타민과 무기질이 들어있는데 사과 100g(사과 한쪽) 당 함량.. 건강 정보 2023. 2. 10.
1만보 걷기 칼로리 소모량은? 추운 겨울에는 바닥이 미끄럽고 온도도 차가워서 야외에서 달리는 운동을 하기에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걷기 운동을 자주 하게 되는데요 보통 걸을 때 1만보 2만보씩 정해서 걷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잠깐! 1만보 걷기는 칼로리 소모량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내가 매일 걷고 있지만 정확히 얼마나 운동이 되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만보 걷기 칼로리 소모량 비교를 위해 걷기 외에 경보, 달리기, 러닝머신 사용 칼로리도 같이 가져와 보았습니다. (사람마다 달리는 속도와 사용되는 근육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참고용으로 보시면 됩니다.) 종류 칼로리 소모량 일반 걷기 1분 2kcal (60분 120kcal) 1만보 걷기 334kcal 2만보 걷기 668kcal 경보 1분 4kca.. 건강 정보 2023. 2. 9.
철분 많은 음식 TOP12 - 식품별 철분 함유량 확인 철분은 우리 몸 구석구석에 산소를 운반해 주는 혈액 내 헤모글로빈의 구성 성분입니다. 철분이 부족하면 체내 산소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빈혈이 일어나게 되는데 특히 월경을 하는 여성이나 출산을 하는 임산부들에게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럴 때는 외부에서 음식을 통해서 보충해 주는 것이 중요한데 그런 의미에서 철분 많은 음식 TOP12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철분 일일 권장량 철분 하루 권장량은 아래와 같습니다.(2001년 미국 국립아카데미 발표 기준) 14~18세 여성: 15mg 19~50세 여성: 18mg 51세 이상 여성: 8mg 임신한 여성: 27mg 수유하는 여성: 9mg 19세 이상 남성: 8mg 1~3세 아동: 7mg 4~8세 아동: 10mg 9~13세 아동: 8mg 일일 최대 허용량: 45mg 일.. 건강 정보 2023. 2. 6.